23.02.15 공부 정리 Nextjs 로 구현가능한 종류 (Data Fetching) Next.js는 React 기반의 프레임워크로, SSR(Server Side Rendering), SSG(Static Site Generation), CSR(Client Side Rendering) 등의 다양한 페이지 렌더링 방식을 지원합니다. 이번에는 각각의 방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SSR (Server Side Rendering) SSR은 서버에서 HTML을 생성하는 방식입니다. 클라이언트가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에서 해당 페이지의 HTML을 미리 렌더링하여 클라이언트에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초기 로딩 속도를 개선하고 SEO(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https://pub.dev/packages/drift drift | Dart Package Drift is a reactive library to store relational data in Dart and Flutter applications. pub.dev [라이브러리] Drift flutter 에서 sqlite를 ORM 으로 작성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 설치 flutter pub add drift flutter pub add sqlite3_flutter_libs flutter pub add path_provider flutter pub add path flutter pub add --dev drift_dev flutter pub add --dev build_runner Todo table ..

출처 : https://pub.dev/packages/freezed freezed | Dart Package Code generation for immutable classes that has a simple syntax/API without compromising on the features. pub.dev [라이브러리] Freezed Flutter 의 모델을 편하게 만들어주는 라이브러리. (모델을 생성하고 반복적으로 작업해야하는 작업들이 한번에 처리되는 편의 기능 제공 ) # 설치 flutter pub add freezed_annotation flutter pub add --dev build_runner flutter pub add --dev freezed # json_annotaion 까지 사용할 ..

라라벨 모던하게 DTO 사용하기 (feat: Laravel Spring) 필요패키지 : # laravel-data $ composer require spatie/laravel-data $ php artisan vendor:publish --provider="Spatie\LaravelData\LaravelDataServiceProvider" --tag="data-config" # laravel-route-attributes $ composer require spatie/laravel-route-attributes $ php artisan vendor:publish --provider="Spatie\RouteAttributes\RouteAttributesServiceProvider" --tag="config..

Laravel Swagger 쉽게 적용하기 (feat. vyuldashev/laravel-openapi 패키지 ) PHP에서 Swagger를 적용하면 코드보다 더 길은 주석을 보게 될 것이다. 물론 Phpstorm에 플러그인을 달면 좀 편하게 쓸 수는 있지만, 이러한 단순 노가다를 하면서, 우리는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한다. ( 뭐 자동화나 클래스로 하는 방법은 없을까? ) PHP 쪽에도 이러한 움직임이 아예 없지는 않다. 그중 필자가 추천하는 패키지는 아래와 같다. https://vyuldashev.github.io/laravel-openapi/ 필자가 해당 패키지를 선택한 이유 1. 문서 작성을 주석에 의존하지 않고 재활용이 가능했으면 좋겠다. 2. 커스텀이 자유로웠으면 좋겠다 위에 2가지가 모두 부..

필자가 신입일 때 오름차순, 내림차순 혹은 ASC, DESC가 많이 헷갈렸다. 지금도 주니어들을 보면 가끔 반대로 말하고 쓰기도 하는데.. 이에 따른 노하우를 정리해보려고 한다. 우선 의미를 알아보자 의미 오름차순(ASC)은 1, 2, 3, 4, 5 이런 식으로 숫자 혹은 날짜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하며, 내림차순(DESC)은 5, 4, 3, 2, 1 이런 식으로 숫자 혹은 날짜가 감소하는 것을 의미한다 의미는 아는데 실무를 보다 보면 헷갈릴 때가 왕왕 있다. 노하우 (한글) 이럴 때는 계단을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계단을 오른다고 상상해보자, 1층에서부터 올라가다 보면 1층 2층 3층 4층 5층 오르다의 오름차순. 이번에는 반대로 내려간다고 생각해보자 5층부터 내려가다 보면, 5층 4층 3층 2층 1층 ..